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1

대한민국 총인구수 및 나이별 인구수 출처는 행정안정부 2019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수는 총 인구수 51,849,861 이다. 나이별 인구수를 보면 90만명이 넘는 나이는 1968년 ~ 71년생인 48세~51세 그리고 1961년 ~ 62년생인 58세~59세이다. 그리고 35세인 1984년생부터 인구수가 60만명대로 떨어진다. 생산인구는 올해부터 20만명씩 감소하기 시작하여 우리는 꽤 오랫시간 생산 인구 감소의 시대를 살아 갈 것이다. 0세 295,132 1세 330,970 2세 362,900 3세 412,018 4세 444,102 5세 440,483 6세 441,362 7세 489,772 8세 476,358 9세 473,817 10세 448,401 11세 469,014 12세 496,146 13세 449,979 14세 436.. 2020. 4. 4.
서울경기인천 주택 착공건수와 결혼 평균 나이 인구수로 본 주택시장 예상 착공건수를 보면 3~4년후에 입주 물량을 예상 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집값 트렌드를 예상 할 수 있다. 착공 건수를 보기 전에 먼저 결혼 평균 나이인 33세의 인구수를 살펴보자. 결혼 평균 나이 33세 인구수를 살펴보는 이유는 결혼이 주택수요에 큰 영향을 미치고 때문이다. 33세 인구는 1979년생이 33세가 되는 2012년부터 다시 상승하여 2015년까지 4년 동안 80만명 이상이 유지되었으며, 2016년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2020년은 2014년대비하여 26% 감소한다. 결혼 평균 나이를 봤으니 이제 먼저 서울 착공건수부터 살펴보자. 서울은 15년에 착공 물량이 폭증하였다. 12년대비하여 거의 2배 수준 증가하였다. 서울 전세가가 본격적인 상승을 했던 시점은 2013년이였다. 20.. 2020. 4. 4.
구글은 사회적 거리 두기 캠페인의 결과를 알고 있다 구글이 소비자들이 허락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캠페인이 방문 지역별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추세를 정리하여 공유하였다.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예가 아닐 듯 싶다. 우리 나라를 보면 레스토랑, 까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영화관이 이동 인구가 -19% 감소 시장, 약국, 음식료품 관련 상점 이동 인구가 +11% 증가 주변 공원은 +51% 증가 대중교통 이용 -17% 감소 직장 이용 -12% 감소 등이다. 우리 나라 리포트는 아래 링크로 걸어 놓았다. https://www.gstatic.com/covid19/mobility/2020-03-29_KR_Mobility_Report_en.pdf 그리고 나라별 지역 검색 사이트도 링크로 연결해 놓았다. https://ww.. 2020. 4. 4.
3월 수출 선방 이유와 20대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2020년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3월 수출 감소폭은 꽤 크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결과는 전년 3월대비해서 0.2% 감소로 선방했다. 중국은 코로나 안정화에 따른 공장 재개 및 경제 활동 복귀로 3월 수출이 1월 수준을 회복했고, 다행히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본격 확산된 미국, EU 수출도 플러스를 유지가 3월 수출 선방에 기여했다. 하지만 유럽, 미국의 현재 바이러스 추세를 보면 4월 수출은 쉽지 않아 보인다. 아래 표와 같이 제품별로 보면 3월 수출 선방에 가장 크게 기여한 제품은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바이오헬스 그리고 화장품이였다. 재택근무, 온라인 쇼핑등의 확대로 컴퓨터가 전년대비 82%, EU, 중남미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의 수출 증가로 화장품이 30%, 바이로시.. 2020. 4. 2.
퀴비(Quibi)는 성공할 수 있을까 퀴비(Quibi)가 4월 6일 서비스를 런칭한다. 런칭에 발맞춰 90일 무료 트라이얼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단기간에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필연적인 프로모션이다. 먼저 소비자를 경험하게 해야 유료 가입자를 늘릴 수 있으니 말이다. 퀴비는 숏폼 그러니까 10분 정도로 짧은 동영상의 비디오스트리밍 플랫폼이다. 현재 비디오스트리밍 플랫폼을 보면 15초동영상 같이 아주 짧은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 영화와 드라마와 같이 상대적으로 긴 동영상 플랫폼인 넥플릭스와 디즈니+ 그리고 다양한 비디오스트리밍을 즐길 수 있는 유튜브가 있다. 이러한 비디오스트리밍 시장에서 퀴비는 너무 짧지도 않고, 너무 길지도 않은 10분 짜리 비디오스트리밍의 시장을 타켓한 것이다. 틱톡과 유뷰트는 누구나 자유롭게 컨텐츠를 올리고 무료.. 2020. 4. 2.
샤오미 Mi 제품으로 본 스마트폰 제품 트렌드, 샤오미 제품 트렌드 그리고 샤오미 가격 전략 높은 가성비 제품으로 스마트폰 시장에 성공한 샤오미. 2010년 레이쥔이 7명의 공동 창업자와 샤오미를 창업한지도 벌써 10년이 되었다. 샤오미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 애플, 화웨이를 이어서 세계 4위 스마트폰 브랜드로 성장하였고, 인도 시장에서는 1위 업체이다. 샤오미 10주년을 맞이해서 샤오미의 대표 제품인 Mi 제품을 통하여 스마트폰 제품 트렌드와 샤오미의 제품 트렌트를 뒤돌아 보고자 한다. 샤오미는 첫 번째 스마트폰부터 하드웨어 차별화에 집중했기 때문에 Mi 스마트폰을 보면 그 시점의 스마트폰 트렌드를 이해 할 수 있다. 프로세서 스마트폰 업체들은 기획하는 스마트폰에 맞춰서 퀄컴의 로드맵에 따라 프로세서를 적용한다. Mi 제품은 하이엔드 제품으로 샤오미는 지속적으로 퀄컴 로드맵중에서 최상위 프.. 2020. 3. 31.
샤오미 Mi 10, Mi 10 Pro Spec. 및 가격 전략 가성비 끝판왕 샤오미가 2월에 발표한 샤오미 Mi 10과 Mi 10 Pro가 내일부터 중국에서 판매를 시작하고 최근 유럽 출시도 발표하였다. 샤오미 Mi10 Series의 Spec.을 살펴보고 가격 전략도 분석해 보자고 한다. 디자인 및 제품 Size Mi 10과 Mi 10 Pro는 제품 Size가 동일하고, 디스플레이도 동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다. 화웨이 P40와 P40 Pro나 삼성 갤럭시 S20와 S20+가 다른 플랫폼으로 스마폰을 출시한 반면 샤오미는 동일한 플랫폼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플랫폼 전략은 부품 공용화를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동일한 디자인에 메모리나 카메라 스펙등을 변경하여, 판매 확장성에는 제한이 있다. 아래 디자인만 보아도 전면 디자인은 완.. 2020. 3. 30.
21:9 모니터 장단점-32인치 QHD 해상도 24인치 FHD 모니터를 쓰다가 32인치 QHD 모니터로 바꾸고 이제 한달 사용하였다. 결론은 대만족. 사용기 한 번 정리해 본다. 21:9 화면비의 장점 첫번째로 긴화면에 의한 멀티태스킹. 아마 21:9 화면비의 가장 큰 장점일 듯 하다. 예를 들어, 아래 그림처럼 인터넷을 찾으면서 워드로 자료 정리할 때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엑셀 작업할 때도 21:9가 정말 좋다. 아래 그림처럼 QHD해상도 기준으로 가로열이 AU열까지 한 눈에 보인다. 세로열도 48열까지 한 눈에 볼 수 있다. 괜히 스크롤하면서 작업하지 않고 한 눈에 보면서 작업 할 수 있는 것은 업무 효율을 높이고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두번째는 21:9 화면비 영화 감상. 이전 영화나 드라마는 16:9이기는 하지만 최근 .. 2020. 3. 29.
GDP 상위 20국가의 확진자수, 사망자수, 인구대비 확진자비율, 확진자치사율 그리고 일주일간의 변화 지난주에 딱 일주일전에 GDP 상위 20개국의 확진자수, 인구대비 확진자 비율, 사망자수 그리고 치사율을 정리했었다. 이번에는 일주일사이 확진자가 나라별로 얼마나 증가하였는지 정리해 보았다. 일주일전대비 가장 큰 증가를 보인 국가는 미국이였다. 그 다음으로 스페인,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순이였다. 여전히 유럽 국가들이 빠른 속도로 확진자 증가하고 있다. 일주일대비 확진자 증가율로 보면 터키의 확진자는 일주일대비 750% 증가하였고, 캐나다, 영국, 캐나다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20.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