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rend15

해외 각 나라가 바라보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해외 문화 홍보원이 올해 2월 해외 각 나라가 바라보는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설문 조사를 발표했다. 과연 해외 국가를 한국을 어떻게 생각할까? 전반적으로 한국을 봐라보는 외국인의 시각은 긍정적이였다. 15개국 평균 긍정은 76.7% 그리고 부정은 8.2%였다. 각 나라별로 보면 긍정 비율이 90%가 넘는 국가는 태국, 브라질, 인도, 러시아였다. 한드와 K팝이 인기에 따라서 긍정비율이 높아지는 듯 하다. 러시아가 제일 높다니. 러시아에서 한국 브랜드의 선호도가 높아진다는 기사를 보기는 했는데 역시 나라의 이미지와 브랜드의 선호도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 인 듯 하다. 반면에, 긍정 비율이 낮은 국가는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과 중국이였다. 두 나라 모두 18년 조사대비하여 긍정 비율이 낮아지고.. 2020. 4. 5.
외국인이 한국하면 떠오르는 대표적인 인물 순위 해외 문화 홍보원에서 국가이미지 설문 조사 보고서를 올해 2월에 발표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외국인이 한국하면 떠오르는 인물중에서 1위는 문재인대통령이 7.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BTS가 5.5%로 그 뒤를 이었다. 그리고 이민호, 송혜교, 싸이가 3,4,5위를 차지했다. BTS는 전세계적으로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으니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되지만, 이민호는 조금 의외였다. 이민호의 인기가 이렇게 높을 줄은 몰랐다. 송혜교는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에서 인기가 많은 것은 알고 있었는데. 가끔 바이두에 들어가서 기사를 보면 송혜교 기사가 자주 송출되고, 기사에 대한 댓글도 많기는 하더이다. 2020. 4. 5.
대한민국 총인구수 및 나이별 인구수 출처는 행정안정부 2019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수는 총 인구수 51,849,861 이다. 나이별 인구수를 보면 90만명이 넘는 나이는 1968년 ~ 71년생인 48세~51세 그리고 1961년 ~ 62년생인 58세~59세이다. 그리고 35세인 1984년생부터 인구수가 60만명대로 떨어진다. 생산인구는 올해부터 20만명씩 감소하기 시작하여 우리는 꽤 오랫시간 생산 인구 감소의 시대를 살아 갈 것이다. 0세 295,132 1세 330,970 2세 362,900 3세 412,018 4세 444,102 5세 440,483 6세 441,362 7세 489,772 8세 476,358 9세 473,817 10세 448,401 11세 469,014 12세 496,146 13세 449,979 14세 436.. 2020. 4. 4.
구글은 사회적 거리 두기 캠페인의 결과를 알고 있다 구글이 소비자들이 허락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 캠페인이 방문 지역별 어떤 변화를 보였는지 추세를 정리하여 공유하였다. 빅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예가 아닐 듯 싶다. 우리 나라를 보면 레스토랑, 까페, 쇼핑센터, 놀이공원, 영화관이 이동 인구가 -19% 감소 시장, 약국, 음식료품 관련 상점 이동 인구가 +11% 증가 주변 공원은 +51% 증가 대중교통 이용 -17% 감소 직장 이용 -12% 감소 등이다. 우리 나라 리포트는 아래 링크로 걸어 놓았다. https://www.gstatic.com/covid19/mobility/2020-03-29_KR_Mobility_Report_en.pdf 그리고 나라별 지역 검색 사이트도 링크로 연결해 놓았다. https://ww.. 2020. 4. 4.
3월 수출 선방 이유와 20대 주요 수출 품목 규모 및 증감률 2020년 3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3월 수출 감소폭은 꽤 크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결과는 전년 3월대비해서 0.2% 감소로 선방했다. 중국은 코로나 안정화에 따른 공장 재개 및 경제 활동 복귀로 3월 수출이 1월 수준을 회복했고, 다행히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본격 확산된 미국, EU 수출도 플러스를 유지가 3월 수출 선방에 기여했다. 하지만 유럽, 미국의 현재 바이러스 추세를 보면 4월 수출은 쉽지 않아 보인다. 아래 표와 같이 제품별로 보면 3월 수출 선방에 가장 크게 기여한 제품은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바이오헬스 그리고 화장품이였다. 재택근무, 온라인 쇼핑등의 확대로 컴퓨터가 전년대비 82%, EU, 중남미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의 수출 증가로 화장품이 30%, 바이로시.. 2020. 4. 2.
국내 검색 엔진 시장 점유율 - 구글 네이버 검색 엔진 시장 점유율 전세계적으로 구글의 영향력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영향력은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한 때 네이버의 검색엔진 시장의 90%을 점유했으나, 2019년 네이버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이 58%로 감소하였고 , 구글 34%으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2017년에 구글의 검색엔진이 6%가 안되었는데 2년만에 6배로 급성장하였다. 구글 검색엔진의 점유율 확대는 검색이라는 기본적인 경쟁력에 따른 것이다. 네이버가 네이버 블로그, 카페등 네이버 내부 Data을 기본으로 검색 결과를 검색하는 반면 구글은 모든 Data에서 검색을 하는 만큼 두 회사의 검색 결과는 하늘과 땅이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가 검색이라는 기본적인 경쟁력을 개선하지 않는다면 구글이 검색엔진 1위도 그리 멀지 않아 보.. 2020. 3. 19.